재활정보 상세

HOME > 복지자료실 > 재활정보 상세

2025년 5월 첫째주 주간장애계 뉴스모음

작성자:울산시각장애인복지관 | 작성일자:2025.04.26

1. 장애인 보조견, 병원 무균실·식당 조리장 외 모든 곳 출입 가능

앞으로 병원 무균실의 감염 관리, 식당 조리장의 위생관리 등의 목적이 아니라면 장애인 보조견의 출입을 거부할 수 없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742

 

2. “난청인 위한 텔레코일존 설치 의무화 필요한목소리

보청기 혹은 인공와우 사용자(이하 난청인)는 일상생활 속 꼭 들어야할 소리 정보를 주변의 각종 소리나 소음과 함께 듣고 살아간다. 좁은 회의 공간에서조차 책상 건드리는 소리, 의자 끄는 소리부터 물을 삼키는 목넘김 소리, 옷깃 소리마저 크게 울릴 수 있는 것.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846

 

3. 9월까지 장애인 개인예산제 바우처 확대 모델시범운영

정부가 이달부터 오는 9월까지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을 활동지원’ 1종에서 주간 및 방과후 활동 등 4종까지 확대한 바우처 확대 모델을 운영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847

 

4. 비장애인 파크골프협회에 장애인 회원 가입 불허 장애인 차별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한 지자체 비장애인 파크골프협회에서 장애인 파크골프협회 회원의 가입을 허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 장애인 차별로 판단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641

 

5. 시각장애 학부모·교사에겐 그림의 떡’, 국가교육정보시스템

국가교육정보시스템을 나이스(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라고 한다. 신용정보 회사인 나이스(NICE)도 발음이 같아서 어떤 학부모는 자녀의 생활기록부를 열람하려고 신용회사에 가입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725

 

6. 지난해 하반기 장애인 고용률 34.5%, 취업자 단순노무’ 1

지난해 하반기 장애인 고용률은 34.5%로 전년 대비 0.5%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1위였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745

 

7. 장애인의 삶을 바꾸는 AI 기술, 그리고 기대와 우려

장애인에게 있어 기술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특히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이전까지 상상하기 어려웠던 방식으로 우리 삶을 재구성하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최신 AI 기술과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변화와 기대를 장애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860

 

8. 스위스가 장애인을 대하는 조금 특별한 방식

유럽의 지붕, 알프스를 품은 스위스. 누구나 한 번쯤은 그 고요하고 정돈된 자연을 꿈꾸지만, 정작 그곳 사람들의 삶은 척박한 산악 환경과의 싸움이었다. 스위스인의 질긴 생존력은 산을 깎고, 공동체를 만들고, 정밀기계를 조립하며 만들어졌다. 이들이 오랜 시간 지켜온 한가지는 가족이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654

 

9. 장애를 다루는 좋은 의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의학은 생명을 다루는 고도의 전문직이다. 그래서 우리는 의사에게 높은 지식과 윤리, 판단력과 공감을 모두 기대한다. 그러나 정작 질문해보아야 할 것은 이것이다. 좋은 의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뛰어난 의학 지식만으로 충분한가? 혹은 경험 많은 현장 훈련이 열쇠인가?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보면, 이 질문은 단순한 교육 방법론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의료전문가를 길러내는 제도와 문화, 가치체계의 문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675

 

10. 장문원, 장애예술인 이음아트포트2025’ 전시작품 공모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장문원)이 장애예술인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창작물 기반의 유통 확대 및 예술 시장 진입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이음아트포트2025-예술로이어지는 여기에서의 전시작품을 오는 30일까지 선착순 모집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805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