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인고용정책 위한 ‘2024년 통계조사 2종’ 실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원장 조윤경, 이하 공단)은 이달부터 장애인 고용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고자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와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257
2, 복지로와 정부24, ‘기초연금 신청’ 로그인 연계 원스톱 신청 가능
기초연금 신청 서비스가 복지로(www.bokjiro.go.kr)와 정부24(www.gov.kr)의 로그인 연계를 통해 손쉽게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14일 한국사회보장정보원(원장 김현준, 이하 사보원)에 따르면 지난 12일부터 복지로와 정부24간 기초연금 신청 서비스 로그인 연계가 추가돼 연계 서비스가 기존 6종에서 7종으로 늘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234
3, IoT 가전제품 개발 시 시각장애·저시력 소비자 고려해야
기술의 발달로 냉장고, TV 등 생활가전 중에도 IoT 제품이 속속 등장하는 요즘, 해당 제품을 이용할 장애인 소비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해 문제다.
IoT, 즉 사물 인터넷은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해서 사람이 사물에 직접 손을 대지 않아도 인터넷상에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88
4,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임금 지급실태 점검‧‧재지정 심사 반영
서울시가 돌봄노동 최전선에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사에 대한 법정임금 지급실태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에 나선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공인노무사와 함께 오는 7월과 8월 서울 소재 장애인활동지원기관 181개소 전체에 대한 상반기 임금 지급현황을 확인‧점검하고 결과를 10월 실시하는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에 반영할 계획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86
5, 특별교통수단 준수사항 위반시 2주 이용 제한 ‘장애인 차별’
특별교통수단 준수사항을 위반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에 대한 과도한 이용 제한은 ‘장애인 차별’이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의 판단이 나왔다.
12일 인권위에 따르면 A씨는 특별교통수단 이용자가 준수사항을 3회 이상 위반하면 마지막으로 위반한 날의 다음 날부터 2주간 특별교통수단 이용을 제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진정을 제기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83
6, 고령장애인 활동지원 사각지대 해소, ‘활동지원법 개정안’ 발의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이 12일 만 65세 이후 장애인이 된 사람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고령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82
7, 장애인 금융 세금 가이드-17 ‘절세금융상품 시리즈 저축성보험’
저축성보험이란= 위험 보장, 적립 기능 등 보험의 여러 기능 중 적립의 비중이 큰 보험입니다. 저축성보험은 위험 보장을 주로 하는 보장성보험과 달리 보험기간 만기 시 보험계약자가 납입한 보험료의 총액보다 만기보험금(적립금)이 큰 보험을 말합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22
8, ‘최중중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11일부터 제공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가 오는 11일부터 전국 17개 시‧도에서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10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에 따르면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는 도전행동이 심해 기존 돌봄서비스를 받기 곤란했던 발달장애인에게 맞춤형으로 1:1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달 중 광주, 경기, 경남, 경북, 부산, 서울, 인천, 세종, 전북, 충남, 충북에서 일부 서비스가 개시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43
9, 장애인의 직업재활 측면에서 바라 본 '스마트 팜’
스마트 팜(Smart Farm)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에 적용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농업 시스템이다. 스마트 팜은 센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농작물의 생장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를 수행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19
10, 실태조사 조차 미흡한 뇌병변장애인의 열악한 삶
장애인의 자립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이 어떻게 살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장애인의 욕구에 따라 복지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하지만, 뇌병변장애인의 경우 당사자의 욕구를 조사해 분석한 자료가 많지 않기에 실제 삶에서 뇌병변장애인이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어떤 부분에서 지원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 알 수 없다는 지적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87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